CES2013 리뷰(1) : 7대 메가트렌드

2013-01-10 10:48 오후
손재권

 

CES2013 센트럴홀 LG전시장 입구. 개막일에는 사람이 이렇게 많아서 혼이 빠질 지경이다.

CES 2013을 취재하기 위해 라스베가스에 다녀왔다. CES에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다녀왔기 때문에 지난해와 비교해서 트렌드를 분석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올해는 신문에 기사를 쓰지 않기 때문에 컨퍼런스도 듣고 전시장도 꼼꼼히 다닐 수 있었다. 기조연설 외에는 업체에서 진행하는 기자간담회나 설명회는 참석하지 않았다.
기자간담회나 업체가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부스투어를 듣고 전시를 보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업체의 설명때문에 시각에 편견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신 나의 직관을 믿기로 했다. 수없이 쏟아진 내외신 기사도 체크했다.
CES2013에 대해 본격적으로 정리해볼 참이다. 긴 작업이 될 것이다. 그 전에 키워드 중심으로 간단하게 아이디어를 올려봤다.

CES2013 7. 7. 7.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널리 퍼져있지 않을뿐이다”

“The future is here. It’s just not widely distributed yet”

미래 학자 윌리엄 깁슨이 한 말이다. 원래 언론학자들 사이에서 두루 회자된 이 말은 안철수 전 대선후보가 대선 출마 선언을 하면서 사용해 한국에서도 알려지게 됐다. 미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도 접할 수 있으며 단지 볼 수 없을 뿐이라는 뜻이다. 
올해 CES를 취재하면서 다시 이 문구가 떠올랐다. 하지만 CES에는 미래가 널리 퍼져 있다는 것이 달랐다. 실제 그랬다. 업체들은 앞으로 팔릴 제품이나 시장을 이끄는 제품을 들고 나왔다. 그리고 이구동성으로 “(이 제품은) 세상을 바꾼다”고 외쳤다. 
하지만 실제로 시장과 세상을 바꾸는 제품은 이 전시장에 선보인 수만개 제품중에 한두개에 불과하다. 한두개라도 좋다. 인간의 삶을 보다 편리하게 해서 더 좋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면 말이다. 
CES2013을 취재한 후 7개 메가트렌드와 7개 마이크로트렌드, 7개 향후 전망을 내 나름대로 꼽아봤다. 

7-Mega Trends

1. Connected Everything 
-(Fact)모든 것은 연결된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CES2013에서는 TV, 모바일기기 외에 Car, Audio, Bed, Watch 등 다양한 기기가 선보였다.
-(문제의식) Always on, The Constantly Connected Consumer is Here. 인간은 연결돼 있다. 부부, 친구, 가족, 직장동료 모두 연결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칩가격하락, 규모의 경제는 사물(기계)에 ‘연결성’을 부여했다. 사물은 인터넷을 만나 독립된 존재가 아니라 인간과 대화할 수 있는 존재가 됐다. 인간은 서로 연결 돼 집단을 만들고 그 집단은 인간에 영향을 주면서 서로 발전한다. ‘연결성’이 부여된 사물은 인간과 어떤 영향을 주고받게 될까.
-(So What?) CES2012에 각 업체들은 ‘연결성’을 보여주는데 치중했다. 올해는 연결 이후에 어떤 ‘가치’와 ‘경험’을 소비자들에게 줘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역력했음. 이 숙제를 풀어내는 기업이 ‘연결된’ 세상을 지배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왜 연결해야 하는가에 대해 소비자들이 의문을 아직 완벽하게 풀지 못했다. 특히 ‘커넥티드 홈(Connected Home)’이 그랬다. 각종 디바이스로 연결된 집이 과연 편리할까에 대해 여전히 의문이다. 하지만 ‘커넥티드 카’는 확실히 방향이 잡혔다.
앞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품은 살아남기 힘들 것이다. 기존 산업도 (아름다운) 연결성이 시장의 승패를 좌우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 After Mobile Big Bang

-(Fact) MS, 노키아, 모토롤라, 블랙베리가 올해부터 CES에 나오지 않았다.
-(문제의식) 아이폰, 아이패드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갤럭시가 맞장을 뜬 2010년 이후 2년간은 산업 재편기(빅뱅) 였다. 모바일 기기와 PC 생태계 그리고 그 사이에 어정쩡하게 위치한 가전 산업이 혼재했다. 2013년 CES는 빅뱅 이후 어떤 모습인가를 보여줬음. 즉 우리는 빅뱅 이후에 살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까지 큰 전시장을 차지하던 MS, 노키아, 모토롤라, 블랙베리가 전시를 하지 않았다. CES에서 철수한 것. ‘빅 샷’이 사라진 CES는 볼게 없어서 관람객이 감소해야했다. 한국에서 하는 전시회만 해도 “삼성, LG 안나와? 그럼 안가” 라고 한다. 하지만 CES2013은 사상 최대 관람객과 업체수를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게 어떻게된 일인가? 
-기존 Legacy 기업들을 대신해서 작은 기업들과 중국 기업들이 성장했다. 아직 유명하지는 않지고 작지만 강한 기업들이 꿈틀대기 시작했다. 
-빅뱅으로 몇개는 사라졌고 거대한 운석은 충돌이후 잘게 나뉘어 흩어졌지만 이 것이 자라서 행성이 되고 큰 은하계를 다시 만든다. 기업과 산업의 운명은 세상의 이치와 같이 흘러간다.

3. So long Farewell, PC & Consumer Electronics

-(Fact) PC와 PC 생태계가 질적, 양적으로 모두 하락했다. 피처폰, 모바일PC, 데스크톱 프린터, LCD TV, DVD, 네비, 홈오디오, 홈시어터 등도 함께 사라졌다. 
-(문제의식) 2005년 CES의 주인공은 PC와 홈시어터였다. 소니, 삼성, LG 등은 경쟁적으로 홈시어터를 내놨으며 거의 처음 대중에 선보인 블루레이는 DVD를 대체할 미래 비디오 재생장치인 것 같았다. 하지만 7년만에 모두 전시장에서 사라졌다. 이뿐만 아니다. 피처폰, 모바일PC, 데스크톱 프린터, LCD TV, DVD, 네비게이션, 홈오디오 등도 사라졌다. 아직도 각 가정에는 있다. 하지만 더이상 ‘개발 라인업’에서 사라져 집에서도 곧 사라진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전시장에서 퍼스널컴퓨터(PC)가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주요 업체들은 울트라북 등 신형 PC를 경쟁적으로 선보였다. 접히기도 하고 키보드가 떨어지기도 하며 매우 가볍고 화질도 뛰어났다. 하지만 눈길을 끄는 제품은 하나도 없었다. 만져보고 싶지도 않았다. PC로 할 수 있는 재미난 일이 점점 없어져서 흥미도 잃어버리고 있다. 나만 흥미를 잃어버린 것은 아닌듯 싶다. 업체들도 PC주변기기는 거의 출품하지 않았고 스마트폰, 태블릿 악세서리와 주변기기만 넘쳐났다.
-(So What?)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모든 것이다. PC는 물론 향후 소비자 가전까지 대체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스마트폰, 태블릿과 연동되지 않은 제품은 마치 아이큐 제로에 가까운 아메바같은 제품이고 연동되는 제품은 그래도 아이큐 80의 돌고래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사물에 인터넷이 달리면 원숭이 수준으로 올라간다.

4. Digital Things

-(Fact) 드론, 하피포크, 커넥티드 시계, 아이베드 등이 눈길을 끌었다.
-(문제의식) 포크와 숫가락이 디지털 기기가 될 수 있을까? 별로 생각해보지 않은 질문이다. 하지만 CES2013에서 ‘하피포크(Hapifork)’란 제품이 화제가 됐다. 포크에 센서가 내장 돼 있어서 포크를 사용하는 사람의 식사 속도와 포크 사용 횟수 등을 감지해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식사를 빨리하면 진동이 울려서 경고를 보낸다. 폭식을 막아주는 기기다. 아이베드(iBed)란 제품도 인기를 끌었다. 침대에 센서가 달려 있어서 잠을 자고 나면 자면서 얼마나 움직였는지 숙면을 취했는지 여부를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다. 커넥티드 시계도 많은 업체들이 들고 나왔다. 일반 사물들이 인터넷을 만나 점차 디지털 기기로 변신하고 있다. 디지털화는 곧 데이터의 생성을 의미하며 이 같은 기기는 ‘건강관리’ ‘안전(Security)’ 제품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So What?) 지난해에는 이런 제품이 거의 시제품 수준으로 많이 나오진 않았다. 하지만 올해는 ‘폭발’ 수준으로 많이 등장했다. 아이디어 싸움이다. 이 중 몇몇 제품은 크게 성장할 제목이 될 것이다. 실제로 패롯(Parrot)이란 회사는 지난해 아이폰으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 ‘AR 드론’을 싸게 내놓아서 화제를 모으더니 올해는 더 진화한 제품을 선보였다. 이 회사는 ‘플라워파워’라는 화분에 달아서 무선으로 빛과 수분,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공개했다. 지난해에는 이 같은 제품을 보면서 대다수가 “뜰까..?”라고 의심했다. 하지만 올해는 이 같은 의구심은 없고 “우리도 해야한다”며 대세에 동참하는 분위기가 됐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 같은 ‘디지털 씽스’가 대부분 건강이나 재미(Fun)를 노리고 있다는 것이다. ‘효용성’이 전부는 아니라는 점이다.
또 ‘디지털 씽스’가 부상하면서 하드웨어와 제조업의 중요성이 다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투자를 동반하는 대형 공장이 필요없고 3D프린터와 같이 새로운 제조 기술도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One more thing … Smartphone is Life’s remote control
-‘디지털 씽스’는 대부분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동시켜서 디지털 씽스에서 나오는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한다. 스마트폰과 디지털 씽스 앱이 연결되면 못하는 것이 없어진다. 무인항공기를 운전하기도 하고 밖에서 집 안의 온도를 조절하기도 한다. 스마트폰은 점차 삶의 리모트콘트롤이 되고 있는 셈이다.

5. Connected Car is not future, but present.
-(Fact) GM, 포드, 렉서스, 현대차, 아우디 등 주요 자동차 업체들은 경쟁적으로 커넥티드 자동차의 비전을 발표하고 실제 시연을 했다.
-(문제의식) 올해 커넥티드 자동차를 보고 굉장히 놀랐다. 전자산업보다 더 빠르게 진화한 산업이 바로 ‘자동차’임을 눈으로 확인했기 때문이다. 주요 업체들은 거의 상용화 직전의 커넥티드 자동차를 전시했다. 특히 포드는 올해 7년째 CES에 참여했다. 7년전에는 “포드도 있네..”라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경쟁사가 각기 다른 개념의 커넥티드 자동차를 들고 나와 노스홀(NorthHall)은 사실상 ‘오토쇼’ 분위기였다.
중요한 것은 이들이 컨셉카가 아니었다는 점이다. 실제 테스트를 진행해보거나(아우디) 도로에 달리고 있는 자동차(테슬라)도 전시 됐다.
포드는 자동차에 앱을 내려받을 수 있게 했으며 렉서스는 안전운전에 초점을 둔 자동차를 발표했다. 아우디도 거의 구글 셀프드라이빙카에 필적하는 제품을 선보여 놀라게 했다. 현대차도 미래 커넥티드카를 전시했다.
-(So What?) 커넥티드 자동차가 중요한 것은 “왜 연결하는가?”에 대한 명쾌한 답이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차는 운전자를 편하게 해줘서 교통사고율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도로에 낭비하는 시간을 줄여준다.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서 기름 값도 적게 든다. 전기차와 결합하기 때문에 미래 운송수단이 될 수밖에 없다. 이번 CES에서 본 결론은 ‘커넥티드 자동차’는 더이상 미래가 아니라는 점이다. 좌고우면할 필요도 없이 이 방향으로 달려가게 돼 있다는 점도 명확했다. 커넥티드 자동차(+전기차)에 한국 산업의 미래를 걸어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6. Me, Digital

-(Fact) 디지털 헬스(HealthCare) 제품이 다수 출품됐으며 가전 제품은 음성인식, 동작인식 등 인간에 친숙한 인터페이스 기술도 진화된 모습을 보여줬다.
-(문제의식) 역시 ‘인간’이다. 전문가들은 인간의 몸(Human Body)이 디지털 레볼루션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아왔다. 디지털 기기는 사람의 눈, 귀, 입은 물론 감각까지 닮아가려 하고 있다. 사람들은 점점 인간의 모습을 닮아 목소리를 알아듣고 움직임을 따라가며 속마음을 알아차리는 기기를 좋아하기 시작했다. 음성인식이 적용된 리모콘이 나오고 동작을 인식하는 TV가 나오고 있으며 내가 보고 싶어하는 방송을 미리 알고 추천해주는 기기가 등장했다.
헬스케어 제품도 다수 나왔다. 심박동, 당뇨체크는 기본이 됐다. 디지털 헬스는 차세대 ‘금맥’이 될 것이라는데는 이견이 없는 상태다.
‘구글 안경’ 등 웨어러블 컴퓨터가 속속 등장하고 있는 것도 사람의 몸과 관련 돼 있다. 복잡한 기기를 들고 다니기보다 내장된다면 더 편리할 것이다.
-(So What?) 디지털 헬스, 휴먼 인터페이스, 웨어러블 컴퓨터 등은 이미 오래전에 나온 개념이며 많은 업체들이 앞다퉈 시장을 열어보려다 실패했다. 사람들은 ‘인간을 닮은 기기’를 좋아하지만 ‘조잡한’ 기기는 싫어한다. 지금까지 ‘연결성’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사람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알지 못했다.
이제는 양상이 달라졌다. 기술은 진화했고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디지털 기기가 몸으로 들어오기 시작했으며 기기 스스로 알아서 사람의 몸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사람은 보수적이다. 아이폰 ‘시리’를 놀라워했지만 놀이 수준 이상으로 활용하지는 않았다. 몇번 사용해봤지만 부정확하고 어색했다. MS ‘키넥트’를 좋아했지만 게임기에서 벗어나서 생각하지는 않았다. 의외로 재미는 없었다. 스마트TV를 보며 흥미로워했지만 리모콘에다 “TV켜”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냥 빨간 버튼을 누르는 것이 더 편했다.
디지털은 인간을 향한다. 하지만 인간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대한 깊은 연구가 더 필요해 보인다.

7. Dell-ification of Global industry

-(Fact) CES2013은 아시아 3국(한중일)의 제조 혁신 능력을 다시한번 확인한 자리였다. 삼성, LG 등 한국 기업의 기술 리더십을 확인했으며 일본 기업들은 반격의 기회를 잡았고 중국 기업의 꾸준한 성장이 눈길을 끌었다. 북미 및 유럽 기반의 제조기업(모토롤라, RIM 등)은 더이상 경쟁을 할 수 없음이 증명됐다. 
-(문제의식) Dell-ification(델리피케이션, 델화)는 PC 시대 글로벌 공급체제를 만들었던 ‘델’의 혁신 방식을 본딴 말이다. 
델은 미국에서 PC를 판매하지만 제조는 중국, 부품은 대만과 한국, 콜센터는 인도, OS는 미국(MS)에서 공급을 받았다. 세계에서 가장 잘 하는 파트를 효율적으로 묶어서 세계에서 가장 저렴하고 경쟁력있는 PC를 만들어 한때 세계를 제패했다. 물론 모바일이 등장하기 전까지 말이다. 델의 위상은 추락했지만 델의 글로벌 소싱 방식은 세계적으로 확산됐다.
대륙별로 각자 가장 잘하는 부분의 능력이 극대화됐다. 북미는 제조업이 경쟁력을 잃고 운영체제(OS)와 플랫폼 기업(애플,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만 살아남게 됐다. 
아시아는 확실한 글로벌 제조업의 전진기지가 됐다. 아시아는 ‘생산기지’에서 ‘혁신기지’로 옮겨가고 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제조업의 혁신 기지로 자리잡았고 중국은 ‘세계의 공장’을 넘어서려는 욕심과 능력을 드러냈다. 침체를 거듭하던 일본 기업은 대만과 손잡고 한국 기업에 복수의 칼을 갈고 있음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중일대만의 혁신 경쟁은 각국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미, 유럽 제조 기업들이 도저히 경쟁할 수 없게 됐다.
유럽은 서비스, 디자인이 경쟁력이 높아졌다. EU 통합 20년 만에 서비스 장벽이 완전히 무너져서 같은 대륙, 다른 언어, 다른 인종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와 디자인은 상당히 경쟁력을 갖췄고 세계적인 통신서비스 기업과 디자인 기업들을 배출하고 있다.
-(So What?) 한국 기업은 델리피케이션 흐름을 어떻게 볼 것인가? 플랫폼 기업이 못된다고 자조하고 비난할 것인가. 아니다. 이를 적극 이용해야 한다고 본다. 델리피케이션은 모바일 시대에도 지속되는 흐름이다. 
한마디로 아시아 각 기업들은 구글, 아마존, MS 등의 플랫폼 기기를 생산하는 OEM 업체라는 것이다. 
운영체제를 만들고 플랫폼 기업이 되는 것은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일은 아니다. 플랫폼은 가치사슬의 가장 위에 있고 수익율이 높지만 고용효과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제조업은 수익은 낮지만 고용 창출 효과가 높고 전후방 산업에 영향을 미쳐서 국가 산업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이 사실이다. 미국 정부가 천문학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는 애플에 불만을 나타내는 지점도 바로 여기다. 미국인들은 애플 제품과 스티브 잡스를 좋아하지만 애플의 경영 방식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혁신 제조 능력은 ‘커넥티드’ 시대에 기회가 더 많아 보인다. 수많은 커넥티드 디바이스, 디지털 씽스는 아시아에서(특히 중국에서) 제조된다.
모두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만들 필요는 없다. 이미 경쟁이 심하다. 
커넥티드 현상의 심화로 앞으로 수많은 ‘디지털 씽스’가 등장할 것이다. 미국 기업과 대학으로부터 ‘OS 및 플랫폼’을 소싱하고 유럽 기업과 대학에서 서비스와 디자인 능력을 배우면 커넥티드 시대를 지배하는 기업은 미국과 유럽이 아닌 한국에서 태어날 수 있다. ‘두뇌없는 손(단순 OEM)’이 아니라 ’10개의 손가락에 각각 뇌가 달린’ 새로운 괴물 기업들이 한국에서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Next … 

————————————————-

7-Micro Trends

1. Not CES anymore, but WES.  
2. TV War : 4K, OLED, 크기 등 한중일 다른 길 선언 .. 2~3년후 승부 갈려

-Ultra HD, 4K, OLED, Flexible display.
3. Hal TV : App TV는 더이상 큰 매력이 없음
-App을 내려받는 스마트TV의 실패
-추천 엔진을 장착한 TV의 부상(Like Hal)
4. 커넥티드 홈 여전히 진화 중
-디지털 홈은 Next Big Thing으로 수년째 자리매김.
-그럼에도 본격적인 디지털홈은 아직 오지 않았다. 그러나 가능성은 확인.
5. 칩(부품) 업체가 CES 주인공으로
-퀄컴, 삼성, 인텔, 엔비디아 새 혁신 제품 공개.
6. 한국, 기술 리더십 확인
-삼성 : 플랫폼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다. 커넥티드 가전 완성체 목표LG : Above & Beyond? 현대차, 제 3의 테크 기업으로 부상.  
7. 일본과 중국 그리고 대만
-일본 : 소니, 파나소닉, 도시바 여전한 기술 자신감. 이제 어떻게 해야할지 알았다.
-중국 위협론의 재검토(하이얼, 화웨이, 창홍 등) : 우리는 왜 이 제품을 만들지?
 

7-Future Prospects
1. Redefine Everything I know

-What is TV?
-What is Car? -What is Healthcare?, home?  
2. TV is still interesting, but not game changer

3. 스마트폰+태블릿 means everything
4. 결국 데이터 분석이 돈을 번다 … Information is no more important, but right info.
 -초연결에서 나오는 수많은 데이터를 수집, 분석, 제공이 핵심 비즈니스
5. 플랫폼 전쟁은 끝났다 : iOS+Android will dominate. Amazon+FB will follow. MS may Drop
6. Korea will have a big crisis of manufacturing, If we do not now. 

7. EveryWare : HW+SW+Service in Design
-HW+SW will win.
-HW Design, SW Design, HW+SW Design will be critical.

Conclusion : Today is Future



13 개의 댓글
2013-01-12 3:15 오후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2013-01-12 3:16 오후

-빅뱅으로 몇개는 사라졌고 거대한 운석은 충돌이후 잘게 나뉘어 흩어졌지만 이 것이 자라서 행성이 되고 큰 은하계를 다시 만든다. 기업과 산업의 운명은 세상의 이치와 같이 흘러간다… 는 표현이 무척 인상적입니다.
많은 부분에도 통하는 이치인듯 하네요. 잘 봤습니다.

다음 이야기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2013-01-12 8:03 오후

네 감사합니다. 계속 아이디어를 발전시켜보겠습니다.

2013-01-13 1:00 오전

잘 읽었습니다.
벌써 다음 글을 기다리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2013-01-13 11:55 오전

잘 읽었습니다. 저는 이번 CES에 참석하지않아 듣고 경험한 것에 불과한 터라 생각정리가 잘 안되었는데, 역시 직접 다녀오신분의 글은 다르네요. 깊은 통찰력이 깃든 글 정리하고 쓰시느라 오래 걸리셨을텐데 참 쉽게 얻어(?)갑니다. 다음 글 기대하겠습니다.

2013-01-13 2:50 오후

이러한 기술들로인한 제품들의 변화가 개인정보보호와프라이버시 문제와 왜연결되고 그러함으로써 인간의 삶전체환경이 어떠한 변화가 감지되는지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 손기자님기사를 읽으니 그정도깊이로도 들어가실수있을듯해서 ^^

2013-01-13 8:34 오후

잘 읽었습니다. 앞으로 자주 찾아 들러야 겠네요.^^

2013-01-14 1:16 오전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

2013-01-14 1:17 오전

감사합니다. 2, 3편도 잘 써보겠습니다. ^^

2013-01-14 1:18 오전

네 물론입니다. 기술 결정론자들은 사회의 변화와 반응까지 잘 못봅니다. 그러기 때문에 과거 유비쿼터스 버블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지 않는 기술은 자기만족에 불과하고 결과적으로 사회를 바꿀 수 없습니다.

2013-01-14 1:19 오전

감사합니다. 열심히 쓸께요 ㅎㅎ

2013-01-14 8:49 오전

영양가 있는 글 잘 보았습니다.^^

2013-01-21 9:54 오후

CES를 가보지 못해 아쉬웠는데, 글로벌 트랜드를 파악할 수 있는 통찰력있는 내용에 감사드립니다.
전 스로봇사업가입니다. 내년 CES를 준비하고 있으며 서비스로봇이 키워드가 되고 Mega Trend가도도록 만들어 보겠습니다.

댓글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