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은 사람이다. 문화다. -미디어 파괴자가 되는 길 How to be a media disruptor “다가오는 시대에도 지금 누리는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반드시 진화해야 한다” 뉴욕타임즈 혁신(Innovation) 보고서는 이렇게 시작한다. 워싱턴포스트가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에 인수되고 허핑턴포스트, 버즈피스(Buzzfeed), 서카(Circa)와 같은 `유사 언론‘이 기존 언론을 인지도와 영향력에서도 넘어서려는 상황이 보이자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든 상황을 언급한 것이다. 그러면서 “이 보고서가 이 아이디어만 채택하면 완전한 변신을 이룰 수 있다는 식의 만병통치약을 담고 있지 않다. 변신이란 말이 위험한 단어가 될 수도 있다. 안전한 상태에서 다른 상황으로 전환하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이다“고 말한다. 뉴욕타임즈 뿐만 아니라 미국내외 언론계 전반의 변화를 원하는 뉴욕타임즈 혁신보고서를 만든 10명 남짓한 팀의 진정성을 느끼게 했다. 이 보고서는 정작 미국에서보다 한국 언론계에 더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한국 언론의 최고위층에서부터 디지털과 관계없는 부서의 데스크까지 이 혁신보고서를 많이 읽은 것으로 알고 있다. 언론학 교수, 학자뿐만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를 고민하는 많은 전문가들이 뉴욕타임즈 혁신 보고서를 읽고 “뉴욕타임즈도 이렇게 힘들게 하는구나“면서 “왜 한국은 안되나“라고 자조 섞인 말을 하곤 했다. 하지만 여전히 큰 변화는 없다. 혁신은 앎과 실행의 갭(Knowing-Doing Gap)을 줄이는 것에서 부터 시작한다. 한국 언론은 앎과 실행이 가장 동떨어진 업종 중 하나일 것이다. 뉴욕타임즈 혁신보고서가 미국 언론계에서 생각보다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한 이유는 `아웃라이어(Outlier)’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따라하기 힘든 존재가 됐다. 최고의 […]
완전히 새로운 세계가 온다 The Next New World is coming 오늘 뉴욕타임즈 컬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주최한 ‘뉴욕타임즈 글로벌 포럼’에 참석했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칼럼니스트 중 한명이자 글로벌 오피니언 리더의 리더(Leader of Global Opinion Leader)인 프리드먼이 보는 새로운 세계는 어떤 모습인지 궁금했다. 나는 그의 팬이기도 하다. 오늘 컨퍼런스는 2005년 이후 저술된 ‘세계는 평평하다’와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 이후 어떻게 세계관이 변했는지 또는 더 심화됐는지 알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결과적으로 지난 1년간 미국 스탠포드 연수에서 배우고 느낀 ‘새로운 세계’에 대한 나의 생각과 이론에 방점을 찍어주는 소중한 컨퍼런스였다. 그도 그럴 것이 토머스 프리드먼은 이미 내가 이미 블로그에 쓴 ‘역사상 가장 강력한 개인이 온다‘는 글과 맥락이 일치한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문샷 씽킹‘도 언급하는 등 내가 지난 1년간 본 세계가 프리드먼이 본 세계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 나는 21세기의 첫 해는 2001년이 아니라 2007년이라고 생각한다. 2007년 애플 아이폰의 탄생이 20세기와 21세기를 나누는 중요한 이벤트였다고 확신하고 있다. 훗날 역사가들은 21세기에 대해 정의를 내릴때 B.I. 시대(Before iphone)와 A.I. 시대(After iphone)로 구분할 것이다. 더구나 지금은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t)의 시대이기도 하다. 2007년 아이폰을 시작으로 한 스마트폰의 등장은 모바일과 소셜과 데이터의 대융합(Great Convergence of Mobile, Social and Data)을 가져왔고 이 융합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 영역에 걸친 변화의 […]
8비트 퍼스널컴퓨터 ‘아타리’가 나왔던 1979년 CES (사진 From +The Verge) CES2013 리뷰(2) : Jack’s Choice 7 신년 벽두 개최하는 CES나 2월 바르셀로나에서 하는 월드모바일콩그레스(MWC)를 보면 테크/모바일 기업의 일년을 조망할 수 있다. 업체들은 1년동안 고민하고 연구개발한 결과를 연초 전시회에 내놓고 언론이나 소비자 반응을 본 후 시장에 내놓을 시기를 결정한다. 그래서 CES나 MWC를 보면 한해를 관통하는 트렌드가 보인다. 나는 지난 4~5년간 CES 또는 MWC에 가서 직접 취재하고 기사 작성을 했는데 4~5년째 계속 들여다보니 나름대로 시각이 생겼다. 해외 언론은 뉴욕타임즈, WSJ 등 유력지나 CNET, 엔가젯 등 전문 미디어나 모두 자신들의 시각을 담은 새제품을 골라서 독자들에게 공개한다. 하지만 해외 미디어들의 선택은 너무 자의적이어서 동의하지 못하는 제품도 많았고 특히 한국 기업 제품은 무시하고 일본 편향적인 제품을 골라서 속상하기도 한적이 있다. 한국 미디어도 트렌드 기사를 쓴다. 하지만 ‘빅샷’ 이나 ‘얘기되는’ 것 중심으로 쓰기 때문에 디테일에 약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트렌드 쓸만한 지면도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나도 외신에서 ‘흥미로운 가젯 Top 7’ 처럼 내맘대로 CES2013 TOP 7을 골라봤다. 기준은 1. 새로워야 한다. 2. 지난해보다 확실히 진보해야 한다. 3. 멋있어야 한다. 4. 산업적 의미가 있어야 한다. 등.. Jack’s Choice(대략 무순) : CES2013편. 1. 뉴욕타임즈 부스 CES 뉴욕타임즈 부스 CES에 미디어는 대부분 ‘취재단’으로 온다. 공식 파트너 미디어인 CNET과 엔가젯은 스튜디오를 차려 실시간으로 방송도 했다. 한국에서는 기자단만 약 60명 […]
블랙 프라이데이에 미디어도 세일을 합니다. 오늘 사이버 먼데이. 뉴욕타임즈가 앞으로 26주 동안 구독(디지털 버전 및 종이 배달) 50% 세일(227불 -> 110불) 상품을 내놨고 WSJ는 디지털 엑세스 한달치(21.99불)을 내면 6개월 볼 수 있다는 프로모션 진행 중입니다. NYT와 WSJ는 디지털 유료화를 가속화하고 있고 오늘 ‘세일’까지 하는 것을 보니 이제 정착단계인 것 같습니다. 미디어가 블프 세일이 가능한 이유는 1. Paywall을 통한 유료화 정착 단계 2. 독자 프로파일 완벽 구축 3. 신문과 디지털 버전 번들 정책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NYT와 WSJ뿐만 아니라 글로벌 미디어들이 이 같은 정책을 따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절대로’ 안되는 것이기도 하죠. (제가 몸담고 있지만) 한국의 언론이 내용과 그릇 모두 후진화되고 있는데 정말로 안타까운 것은 돌파구를 마련할 용기조차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죠. 10년째 ‘진보 보수 언론 프레임’과 ‘언론을 통한 돈벌이 헤게모니’에 갇혀 새로운 시도를 못하고 있습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한국의 신문은 독자를 모른다 -한국의 신문사는 ‘누가’ 신문을 구독하는지 모릅니다. 독자 프로파일을 갖춘 회사가 놀랍게도 ‘거의’ 없습니다. 독자(소비자)의 연령대, 지역, 학력 등을 알아야 타깃마케팅을 할텐데 프로파일이 없으니 대략의 ‘구독 부수’ 확대를 통한 광고영업이 마케팅의 전부 입니다. 사실입니다. 자세한 독자 프로파일은 대부분 지국이 가지고 있는데 요새는 지국도 신문 공동 배달하는 곳이 많죠. 지국이 거의 자영업 이니까 모 신문사에게 자세한 정보를 주지 않습니다. 독자 정보라고 해봐야 핸드폰 번호와 사람 이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