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을 재정의하라 -성공과 실패 속에 커온 케이블 20년, 뉴미디어 20년 케이블TV 20주년 행사. DDP에서 진행 중이다. 지난 수년동안 케이블TV 산업과 뉴미디어 분야를 취재하면서 .. 케이블TV 20주년에 많은 생각이 교차한다. 지난 1995년`뉴미디어’케이블TV 개국한다고 드라마 전문 방송, 뉴스 전문 방송이 나온다고 했던 것이 기억난다. 이제 20년. 지난 20년간 한국의 방송과 통신 산업 성장에 큰 기여를 해왔다. 예전엔 `황금알을 낳는 거위’란 평가를 받기도 하고 과당 경쟁으로 `쪽박’을 차기도한 사업자도 많았다. 큐릭스를 합병한 후 맥쿼리에 넘긴 예전 씨앤앰 이민주 회장같이 대박난 분도 계시고 제 2의 이민주 회장이 될 줄 알았던 많은 사업자는 지금 가입자당 가치 하락으로 계륵이 되고 있기도 하다. 케이블TV 론칭 후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 위성DMB, 지상파DMB, IPTV 까지 지난 20년간 한국의 뉴미디어는 치열한 경쟁속에 성장했다. 시살 사업자간 논리싸움을 중계한 기억이 많이 난다. 스카이라이프 들어올 때 지상파와 케이블 모두 들고 일어나 다양한 규제를 만들었고 SK그룹이 위성DMB 시작할 때 `통신이 방송하면 안된다’며 막아 세웠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지상파DMB 였는데 출발은 좋았으나`공익=무료’이념으로 수익모델을 만들지 못해 사실상 실패했다. <케이블TV 20년 영상> 이 같은 `당대’뉴미디어는 출발할 때는 한결같이 `글로벌’을 지향했지만 지금까지 글로벌에 성공한 플랫폼은 거의 없었다. 위성DMB도 세계 최초, 지상파 DMB도 세계 최초였는데 결국 `세계 유일’서비스를 하다가 서서히 사라졌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공식’ `비공식’ 규제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폭스, 바이어컴, 워너브라더스 등 글로벌 미디어들이 한국 시장 […]
롬니의 PBS 예산 삭감 발언 이후 나온 패러디물. 세서미스트리트의 주인공 빅버드가 실업자 신세가 될 것 같다는 페러디다. “저는 EBS를 좋아하고 방구대장 뿡뿡이도 좋아합니다. 하지만 EBS 예산은 삭감하겠습니다. 이번 정부에서 방대한 예산운영으로 정부 적자가 너무 많아졌습니다” 만약 한국 대선 토론에서 한 유력후보가 이렇게 말했다면 어땠을까? 유권자들은 “오 .. 대선 후보가 방구대장 뿡뿡이를 알아?”라고 생각했을까 “왠 뿡뿡이?”라고 생각했을까. 후자 아니었겠는가. 사실 이런 상황이 지난 3일 열린 미 대선 TV토론에서 실제로 벌어졌었다. 그리고 미국의 가장 인기있는 개그 프로그램 SNL에서 패러디하는 등 후폭풍이 일파만파다. TV토론 후 개그콘서트에서 희화화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 3일 열린 2012년 미 대선 첫 TV토론. 전체적 분위기는 “롬니가 이겼다”는 것이었다. 지지율도 올라서 공화당은 이제 해볼만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롬니는 여전히 승기를 잡은 것은 아니다. 특히 롬니가 TV토론 도중 “PBS에 대한 예산을 삭감하겠다”는 발언은 두고두고 씹히고 있다. 롬니는 TV토론 도중에 “PBS방송에 대한 보조금을 중단할 것이다. PBS를 좋아하고, 빅 버드를 좋아하고, (사회자인 레러) 당신도 좋아한다. 그렇지만 중국으로부터 빌린 돈을 계속 쓰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빅 버드는 우리도 잘 아는 세서미 스트리트에 나오는 머리 큰 새다. 지난 60년대부터 지금까지 PBS에서 방영되면서 엉뚱한 행동을 하지만 어린아이들에게 수학도 가르치고 기본 단어도 가르치는 미국인들에게 보면 “우리들의 친구”같은 존재다. 롬니는 이날 토론에서 “오바마 정부 예산과 지출이 너무 많고 이는 재정적자로 이어져 중산층을 가난하게 하고 있다. 재정적자를 매우기 […]
전면적으로 바뀐 USA투데이 1면 ‘이름빼고 다 바꾼’ USA투데이의 통큰 변신 *updated Sep 16 오늘(9월 14일 금요일) USA투데이가 지면을 전면 개편해 첫 신문을 발행했다. USA투데이의 개편은 지난 7월부터 알려졌는데 오늘부터 실제 개편에 들어간 것이다. USA투데이는 ‘왜 미국에 전국 어디에서나 같은 뉴스를 보는 신문은 없나. 정치적으로 중립적이며 재미있어야 한다’는 사명으로 1982년 창간된 미국의 유일한 ‘전국’ 종합일간지다. (*한국에는 전국단위 종합일간지가 많지만 미국에는 전국단위 종합일간지 USA투데이 외에는 없다. 뉴욕타임즈, 워싱턴포스트, 시카고트리뷴, LA타임즈 모두 지역 신문이다) USA투데이는 화려한 컬러 편집과 과감한 그래픽의 사용 그리고 무엇보다 ‘USA투데이 판형’이라는 것을 만들어 내며 지하철에서 남에게 피해 안주고 읽을 수 있는 신문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한동안 미국내 구독률 1위를 유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장점이 곧 약점이 되서 영향력이 급격히 떨어졌다. 인터넷 신문이 대중화되고 모바일 뉴스가 등장하자 특색없는 논조는 신문의 파워를 주목하지 않았고 화려한 비주얼은 인터넷에 비해 못하기 때문에 외면을 받았다. 그 결과 3~4년전부터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에 1위 자리를 빼았겼다. 신문 쟁이들 내에서도 ‘세계유산’급의 뉴욕타임즈나 머독(뉴스코퍼레이션)의 ‘월스트리트 저널’, 워싱턴 정가를 꽉 잡고 있는 ‘워싱턴포스트’에 비해 인정을 받지 못했다. 정치적 중립을 강조하다보니 특종이 많지 않고 주장도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 놓인 USA투데이가 오늘부터 전면 변신을 해서 독자에게 첫 선을 보인 것이다. USA투데이의 변신이 의미있고 주목받아야 하는 것은 바로 ‘신문의 디지털 전환’ 때문이다. 최근 미디어 산업이 급변하고 신문 산업이 크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