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를 경험하게 하라” -이젠 BX(relevant Brand eXperience) 시대다 -브랜드 경험의 교과서 스타벅스 미국 코스트코(Costco) 매장에서 가장 많이 발견할 수 있는 브랜드는 무엇일까? 물론 자체상표(PB)브랜드인 커클랜드다. 코스트코의 PB 상품 ‘커클랜드’는 물에서 부터 의류, 햄버거까지 없는게 없는데 저렴한데다 품질도 좋아서 인기가 많다. 여타 PB 상품과는 차원이 다르다. 그렇다면 커클랜드 다음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브랜드는 무엇일까? 놀랍게도 ‘스타벅스(Starbucks)’다. 단일 브랜드로는 코스트코에서 가장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스타벅스는 코스트코에서 ‘로스트 커피(Roast Coffee)’ 뿐만 아니라 ‘카페 베로나’ 컵 커피, 핫초코캔, 다양한 커피와 컵을 담은 기프트세트 등을 판매하고 있다.<*코스트코에서 판매 중인 스타벅스 제품들> 스타벅스의 트레이드 마크인 ‘사이렌’ 여신을 코스트코에서 카트를 끌고 한줄 한줄 지나갈때마다 발견하게 될지는 상상하지 못했다. 코스트코뿐만 아니다. 월마트, 타깃, 세이프웨이 등 매장에서 스타벅스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예전엔 “어! 스타벅스네”라고 했겠지만 이제는 “이것도 있네..”라고 할 정도로 흔해졌다. 스타벅스는 하워드 슐츠 회장 지휘아래 놀랍도록 회사를 확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집에서 만들어 마시는 스타벅스”라는 개념으로 선보인 캡슐 커피 머신 ‘베리스모(Verismo)’ 판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 전역에 퍼진 스타벅스 매장과 집을 가꾸는 제품을 파는 매장에는 ‘베리스모‘ 프로모션에 여념이 없다. “집에서 스타벅스를 만들어 먹는다?” 비싸지 않다면 “나도 하나 살까?” 하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다. 슐츠 회장이 스타벅스 브랜드를 확장해야겠다는 아이디어에는 끝이 없다. 최근에는 차와 주스 시장으로 매출을 끌어 올리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의 유기농 주스 생산업체(에볼루션프레시)를 인수했고 제과 제빵업체(라 블랑제 […]
스타벅스는 새로운 공장이다 엘카미노와 로렌스 크로스에 있는 스타벅스. 전미 매출 2위를 자랑하는 매장이다. 우리 동네 스타벅스. 전미 매출 2위를 자랑할 정도로 하루종일 사람이 많다. 맥도널드처럼 드라이브인도 있어서 차타고 가다 아이스 아메리카노나 Cafe Latte를 시킬 수 있다. 이 지점의 성공 비결은 첫째, ‘스피드’다. 한국은 저리가라다. 주문과 픽업까지 정말 최단시간이다. 드라이브인으로 주문하면 스피드를 더 체감할 수 있다. 미국인들도 빠른 것 정말 좋아한다. 둘째는 ‘위치(Location)’다. 실리콘밸리 전역으로 연결 되는 엘카미노와 로렌스 사이에 있어서 약속잡기 쉽고 만나기 쉽다. 그래서 아침부터 밤 11시까지 자리가 없을 정도로 사람이 많다. 셋째는 ‘맞춤형(커스터마이제이션)’이다. 이 매장 안쪽에는 독서실 같이(또는 흡연실 같이) 폐쇄된 장소가 있는데 놀랍게도 커피 카시면서 얘기를 못하는 공간이다. 혼자 와서 공부하기엔 안성맞춤이다. 그래서 인종 불문하고 사람이 모여 이 스타벅스는 전미 매출 2위를 기록했다. 어쩔때 가보면 아시아 각 인종이 많고 언어도 한꺼번에 섞여 말해서 “원아시아가 따로 없구나”라고 생각될 때도 있었다. 스타벅스는 카페가 아니라 공장이 되고 있는 것 같다. 공론장을 넘어 공장이 되고 있다. 여기서 다양한 인종이 모여 지식이 생산이 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낸다. 이 스타벅스에서 얼마나 많은 비즈니스 미팅이 있었겠는가. 얼마나 많은 스타트업들이 아이디어를 공유했겠는가. 카페(스타벅스)는 이제 공장이다. Cafe is new factory. *이 글은 계속 Develop 예정. 스탠포드에서의 한글날 한국어를 테스트한 학생들은 없었다. 스탠포드의 제 2외국어 배치표. 스탠포드 1학년생들이 제 2외국어를 수강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