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이코노미의 그늘 “애플 본사 어디에요? 가고 싶어요” “볼게 없어요.. 그래도 그 맘 알아요” 한국에서 손님(친구, 지인)이 오면 반드시 가고 싶어하는 곳 중 하나가 애플 본사다. 우리 집에서 차로 5~10분거리 쯤에 있는 애플 본사. 출퇴근할때 280 타고 가다가 매일 보는 건물이다. 쿠퍼티노에 위치한 애플 본사는 정말 입구에서 사진찍고 본사 스토어에 가서 티셔츠 하나 살 수 있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MS나 구글 본사처럼 Visitor Center가 있는 것도 아니다. 심지어 흔한 애플스토어에 있는 자사 제품도 별로 없다. 하지만 누구나 가고 싶어한다. 그래서 가보면 우리처럼 티셔츠나 머그컵 등을 사가는 관광객들이 많다. 특히 중국, 일본, 한국인 등 아시아인들이 유난히 많은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애플은 아시아인에게는 선망의 대상이자 공포의 대상이니까. 미국인에게도 그럴까? 미국인이 아니라 모르겠지만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세계에서 가장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이자 유명한 기업. 모두가 선망하면서도 두려워하는 기업. 시대마다 이름이 달랐다. 한 가정에 한대의 차가 퍼질 때는 제너럴모터스(GM), 포드(Ford)가 그 위치를 차지했고 TV가 보급될때는 GE와 소니가, 한 가정에 한대의 PC가 퍼질때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IBM 등이 ‘지존’이었다. 2012년 지금은? 미국인들 사이에서 ‘애플(Apple)’이 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데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최근에 애플을 보는 미국인과 아시아인들의 시선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비단 애플 뿐만 아니라 애플로 대변되는 스마트폰 및 앱 생태계. 즉, ‘앱 경제학’ 또는 ‘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