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버 기자간담회 다녀왔습니다. 굉장히 미묘한 감정이 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로`서비스’로서의 우버는 대찬성이고 빨리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기업’으로서의 우버는 전형적인 백인 우월주의로 뭉친 기업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맘에 들지는 않습니다. 같은 `서민’으로서 택시 기사들이 밥그릇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에 대해 시위와 정부, 서울시의 규제에 동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고객’으로서 한국의 택시 서비스는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고 믿으며 20~30년전부터 만들어진 낡은 택시와 운송 관련 규제는 우버와 같은 서비스로 인해 바뀔 수 있다고도 생각합니다. 확실한 것은 `우버’는 기술기업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SF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이지만 이번에 기자회견에 나선 부사장(데이빗 플루프)도 워싱턴에서 영입된 로비스트로 우버에 오래 있지 않을 사람입니다. 2016년 미 대선 때(아마 예비경선부터) 민주당 캠프에 차출될 사람입니다. 이런 거물을 영입하고 한국에서는 법률자문을 위해 김앤장을 고용할 정도로 엄청난 자금을 투자 받았습니다. `우버’는 현재 기존 규제와 신기술이 만들 새질서의 충돌을 상징하는 기업입니다. 잘 해결해야 충격을 흡수하면서 기술적 사회적 진보를 이룰텐데 현재 우버 경영진의 자세와 태도로 이것이 가능할지는 의문입니다. 더 확실한 것은 `우버’를 어떻게 수용하는가의 여부가 `기술과 사회의 대화’를 풀어가는 키워드가 될 것 같다는 것입니다. 기술의 진보와 이 것이 낳는 변화를 사회(인간)가 어떻게 수용하고 또 어떻게 기술에 긍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가 중요합니다. 우버가 설정하고 있는`낡은 규제 vs 우버’프레임을 벗고 `사회 with 신기술’이라는 프레임으로 접근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우버는 그래서 갈등을 야기하는 서울에서 공격적으로 사업을 하기 보다 […]
우버, 그들은 동사다 최근 스파크랩스의 NEXT 컨퍼런스에 참가, `컨텍스트의 시대(The Age of Context)’의 저자 로버트 스코블을 만나 인터뷰했다. 로버트 스코블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유명한 블로거인데 구글 글라스 등 웨어러블 기기를 먼저 착용하고 리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나는 `컨텍스트의 시대’에 추천사를 쓰기도 했다. 이 책에는 폭력을 막는 속옷이나 암을 발견하는 속옷, 티셔츠 배터리, 스마트 마스크 등의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나오는데 이 것들이 모두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서 실제 이 같은 제품을 연구하고 시제품을 내놓고 있는 제품들이다. 책을 다 읽고 나면 웨어러블, 사물 인터넷이 등장했다가 사라지는 `제품’이 아닌 메가 트렌드임을 알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은 웨어러블과 사물인터넷(IoT) 분야의 바이블이 되기에 충분하다. 스코블 인터뷰 시간을 짧았지만 여러가지 생각을 물었고 재미있게 답변을 했다. 그 중에서 몇가지는 `딱’ 하는 아이디어도 있었다. 역시 거침없는 친구였다. 인터뷰는 녹취하지 않았고 생각나는 부분만 적었다. <사진/손재권> 처음에 “매일경제신문의 손재권 기자다”라고 하니 스코블은 대끔 “신문? 종이가 뭐지?(Newspaper? What is Paper?)”라고 대답을 했다. 일부러 이런 말을 한 것 같다. 가장 먼저 물어본 것은 `애플 워치’에 대한 것이었다. “놀랍다. 세상에 이런 제품은 처음이다”란 대답이 나올 줄 알았으나 의외의 말을 했다. 그는 “약간 실망했다. 좀 더 세련되길 원했다. 배터리 문제가 나올 것으로 본다. 하지만 4개 센서가 들어가 있는 것은 흥미로웠다”고 말했다. 구글 글라스는 어떨까? 스코블은 구글 글라스를 먼저 착용하고 화장실에서 샤워하는 사진을 올려 유명해졌다. 구글 I/O에서 공개적으로 질문하고 레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