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일 페이스북에는 “친구와 고마워”라고 하는 동영상이 급속도로 퍼졌다. 페이스북이 창사기념일에 맞춰 공개한 것. 페이스북은 왜 이 동영상을 만들어 퍼트렸을까? 멘로파크 본사에 가서 직접 취재했다.
2016년 6대 테크뉴스로 본 미래 시사점은 무엇일까. 디바이스는 사라지고 컴퓨터는 지능형 조력자가 된다. 그리고 10년간 페이스북이라는 버블에 갇히게 된다.
2016년은 기술 분야에서는 지난 10년간 성장을 이끌었던 ‘모바일’이 뒤로 물러나고 ‘인공지능’ 기술이 바톤을 이어받아 경제, 산업은 물론 실생활도 지배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은 ‘인공지능’이 메인 무대로 올라온 해였다.
우버, 그들은 동사다 최근 스파크랩스의 NEXT 컨퍼런스에 참가, `컨텍스트의 시대(The Age of Context)’의 저자 로버트 스코블을 만나 인터뷰했다. 로버트 스코블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유명한 블로거인데 구글 글라스 등 웨어러블 기기를 먼저 착용하고 리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나는 `컨텍스트의 시대’에 추천사를 쓰기도 했다. 이 책에는 폭력을 막는 속옷이나 암을 발견하는 속옷, 티셔츠 배터리, 스마트 마스크 등의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나오는데 이 것들이 모두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서 실제 이 같은 제품을 연구하고 시제품을 내놓고 있는 제품들이다. 책을 다 읽고 나면 웨어러블, 사물 인터넷이 등장했다가 사라지는 `제품’이 아닌 메가 트렌드임을 알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은 웨어러블과 사물인터넷(IoT) 분야의 바이블이 되기에 충분하다. 스코블 인터뷰 시간을 짧았지만 여러가지 생각을 물었고 재미있게 답변을 했다. 그 중에서 몇가지는 `딱’ 하는 아이디어도 있었다. 역시 거침없는 친구였다. 인터뷰는 녹취하지 않았고 생각나는 부분만 적었다. <사진/손재권> 처음에 “매일경제신문의 손재권 기자다”라고 하니 스코블은 대끔 “신문? 종이가 뭐지?(Newspaper? What is Paper?)”라고 대답을 했다. 일부러 이런 말을 한 것 같다. 가장 먼저 물어본 것은 `애플 워치’에 대한 것이었다. “놀랍다. 세상에 이런 제품은 처음이다”란 대답이 나올 줄 알았으나 의외의 말을 했다. 그는 “약간 실망했다. 좀 더 세련되길 원했다. 배터리 문제가 나올 것으로 본다. 하지만 4개 센서가 들어가 있는 것은 흥미로웠다”고 말했다. 구글 글라스는 어떨까? 스코블은 구글 글라스를 먼저 착용하고 화장실에서 샤워하는 사진을 올려 유명해졌다. 구글 I/O에서 공개적으로 질문하고 레리 […]
<2014 구글I/O 키노트 발표를 하는 순다 피차이 수석부사장 (사진 : the Verge)> 어제(아니 오늘 새벽) 구글 I/O를 생중계로 봤다. 월드컵팀에 파견 나와 있어서 보스니아-이란 전을 봐야 하는데 제치고 구글I/O를 생중계 시청. 구글I/O는 애플 WWDC처럼 열광적이지 않고 화려하지도 않지만 새로운 서비스, 제품의 출시 뉴스 뿐 아니라 `테크놀로지의 오늘’을 그대로 보여주는 행사이기 때문에 꼭 챙겨봐야 한다. 지난해에는 현장에서 봐서 느낌은 모스콘 센터에 있는 것 같았다. 구글I/O 2014를 나의 방식으로 해석해본다. 1. 상황인지 시대의 개막을 알리다 지난해(2013년) 구글I/O에서 구글은 `구글 글라스’ `구글TV’ `구글Q’ 등과 같은 새 디바이스가 아닌 검색, 구글맵, 구글플러스 등을 진화시킨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였다. 2012년에 충격적인 이벤트(하늘에서 세르게이 브린이 내려와 구글 글라스를 공개하는 장면)가 있어서 인지 새로운 무엇이 나올 것이다라고 잔뜩 기대가 많았다. 하지만 구글은 지난해부터 `화려함’ 대신 서비스 본질에 가까운 발표를 하기 시작했다. CEO가 에릭 슈미트에서 창업자 레리 페이지로 바뀌면서 구글은 테크놀로지 회사로서 기본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해 발표의 주인공은 구글의 핵심 기술인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었다. 머신러닝이란 데이터를 쌓아 기계가 스스로 생각,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지능을 갖춘 소프트웨어가 스스로 판단해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글이 개인 맞춤형 검색인 `구글 나우’서비스를 하고 알아서 잘 나온 사진을 뽑아주고 연말에는 올해의 하이라이트라며 이용자 개인의 1년 이벤트를 정리해주는 것도 구글이 세계 최강의 `머신러닝’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은 검색엔진 회사였다. PC 시대 검색은 앉아서 이용자가 찾기 원하는 단어를 […]
<1998년 프랑스월드컵 조별리그 마지막 벨기에전에서 눈을 다쳐 붕대 감고 있는 이임생 감독> “한국인들은 과정보다 결과를 너무 중시한다” 이런 말을 자주 듣는다. 과정은 무시하고 결과만 본다는 것이다. 올림픽에서 금메달만 중요하게 생각하고 은메달, 동메달은 거들떠보지도 않는다는 것이나 월드컵에서 승리와 16강에 대한 기대가 지나치다는 것이다. 빠른 산업화를 거치면서 결과를 중시한 나머지 대강대강하는 과정이 온갖 대형 사고를 낳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반드시 그런건 아니다. 결과도 결과 나름이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벨기에전이 남았다. 강호 벨기에를 두점차로 이기고 알제리-러시아전을 봐야 한다. 기적이 필요하다. 한국의 16강 진출 확률이 5%라고 하는 것은 이유가 있다. 온 국민이 16강. 16강 하면서 결과만 보는 것 같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고 본다. 선수들이 그라운드에서 최선을 다하고 실력 이상의 퍼포먼스를 보면서 희열을 느끼고 싶어하는 것이다. 손흥민 선수가 알제리전에서 한골을 넣긴 했지만 국민들이 `영웅’ 수준의 대접을 하고 있는 이유는 `정말 열심히’ 뛰었고 실망스런 결과에 분해 하는 모습을 봤기 때문이었다. 1998년 프랑스월드컵 벨기에전도 그랬다. 멕시코에 1-3 역전패하고 네덜란드에 오대영(0-5)로 진 후 차범근 감독이 경질됐다. 정말 최악의 상황이었는데 마지막 벨기에전에서 최선을 다해 1-1로 비기고 마치 승리한 것처럼 대접을 받았다. 돌아오는 김포공항에서 선수들은 비난 대신 환대받았다. 두 경기에서 진 것보다 마지막 경기에서 감독도 없는 상황에서 밀리지 않고 혼신의 힘을 발휘한 것이 TV를 통해 국민들에게 감동을 줬기 때문이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벨기에전에서 […]
<칠레전에서 패배한 후 고개를 숙인채 피치를 빠져나가는 스페인 선수들. 이 장면. 익숙치 않다. 지난 4년간 거의 볼 수 없었던 장면이다> 2011년 4월. 노키아 본사 에스포에 취재를 간 적이 있다. 본사에 가서 노키아 부회장인 에스코 아호를 인터뷰했다. 그는 핀란드 총리를 지낸 인물로 노키아의 전략을 담당하고 있었다. 당시 노키아는 휴대폰 시장 부동의 1위. 삼성전자, LG전자는 노키아의 눈치를 봤고 그들의 `플랫폼 생산 방식’을 따라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당시 노키아의 고민은 기존 휴대폰 사업으로는 더 이상 큰 돈을 벌 수 없다는 점이었다. 당시 애플 아이폰은 점유율은 높지 않지만 팬들의 열광적인 성원을 받고 있었다. 노키아의 선택은 `서비스’였다. 이메일 서비스를 내놨고 지도(나브텍) 회사를 인수했으며 `오비스토어(Ovi Store)’라는 앱스토어도 오픈했다. 노키아는 스마트폰 대응에 뒤쳐졌다고 평가받고 있지만 내부 사정을 들여다 보면 그렇지 않다. 그들은 방향은 알고 있었다. 하지만 힘있게 밀고가지 못했다. 에스코 아호 부회장은 “우리는 이제 서비스 회사다. 하지만 여러 규제도 있고 회사 내부 사정도 있어서 쉽게 전환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고 말했다. 여전히 아호 부회장의 인터뷰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노키아는 지금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인수되고 브랜드가 없어지게 돼 `시대에 뒤쳐진 회사’ 취급받고 있지만 직접 취재한 경험으로는 변신에 능했던 회사가 마지막 고비를 넘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변화에 뒤쳐져서가 아니다. 변화를 하기 싫어서도 아니다. 승자의 딜레마다. 극강의 위치에 있으면 변하고 싶은데도 변신하기 어렵다. 과거의 영광은 오늘의 변화에 방해가 된다. 변해도 욕먹고 변하지 않아도 욕먹는다. 즉, 언제 바꿀 것인가(Winner’s […]
미국으로의 제조업 귀환을 연설하는 미 오바마 대통령 한국 제조업에 퍼펙트스톰 이젠 ‘혁신 제조업’ 으로 재정의 지난 5월초 매일경제에서 `한국 제조업에 퍼팩트스톰 위기’란 제목으로 한국 제조업 경쟁력에 대한 4회 시리즈를 게재했다. 국내외 산업 현장을 오랫동안 취재했는데 지금 한국 제조업에는 `빨간불’이 켜져 있다는 생각때문이었다. 제조업(Manufacturing)은 오랫동안 한국 경제 산업을 견인해왔으며 한국이 주요 경제국가로 성장하는데 성장하는데 큰 공헌을 했다는데는 이견이 없다. 경제 성장을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1997~1998년 IMF 경제 위기를 벗어나는데도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빠르게 벗어나는데도 제조업은 큰 기여를 했다. 공장을 지으려면 대규모 투자를 해야하고 고용을 해야 한다. 섣불리 공장을 지으면 안되기 때문에 연구개발(R&D)도 필수적이다. 그래서 한국 정부는 오랫동안 공장을 유지하는 기업들에 세재 혜택을 줬으며 국내에 공장을 짓는 해외 기업에도 인센티브를 줬다. 아무리 어렵다고 해도 각 지방 산업단지의 공장지대는 그나마 잘 굴러가고 있다. 글로벌 경제, 산업이 격변기에도 한국이 그나마 2~3%의 성장을 하고 있는 것은 제조업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은 수출 주도형일 수밖에 없는 제조업 의존 경제 구조로 서비스업이 부진한 것이 문제가 되고 있을 정도다. 제조업이 무너지면 한국 경제 근간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 기업들도 세계적 수준으로 올라갔다. 삼성전자는 세계적인 기업이 됐으며 현대기아자동차는 자동차 산업이 크게 변하고 있음에도 굳건히 세계 10대 자동차 메이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본 전자기업들이 몰락하고 있음에도 삼성전자는 오히려 상승했으며 현재 유지하고 있는 자동차 메이커 중에 2차 세계대전 이후에 탄생한 국가에서 […]
2014년 5월 26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 위원회(GCIG)에 참석했다가 `채텀하우스룰‘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GCIG 회의에서는 “채텀하우스룰이 적용된다”고 설명을 들었는데 잘 모르다가 회의에 참석해서 알게 됐다. 채텀하우스는 영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왕립국제문제연구소다. 이 연구소의 `룰’이 널리 알려지게 돼 `채텀하우스룰’이라고 부른다. 채텀하우스룰(Chatham House Rule)이란 토론공간에서 자유롭게 생각을 말하고 전하되 참석자들은 외부에 `어떤 직위의 누가 이런 발언을 했다’는 것을 밝히지 않고 토론의 요지는 자유로이 전달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하는 토론방식을 뜻한다. 지금은 영국뿐만 아니라 국제 외교 무대에서 이 채텀하우스룰이 널리 통용되고 있다. 토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논쟁을 줄이면서도 토론의 요지는 분명히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 같다. 실제 GCIG 회의에서도 민감한 발언에 대해서는 “채텀하우스 룰이 있으니…”라며 발언하는 패널리스트를 봤다. 회의 내용이 전체 공개 되는 회의의 장점도 있지만 모든 회의를 이렇게 전체공개할 필요는 없다. 그렇다고 폐쇄되면 회의의 요지가 전달되지 않거나 어떤 사람은 발언의 공개를 원하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주장이 갈릴 수밖에 없고 추후 전체 합의, 단일한 목소리가 중요한 회의에서는 `채텀하우스룰’을 원칙으로 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Q. When was the Rule devised? A. In 1927 and refined in 1992 and 2002. Q. Should one refer to the Chatham House Rule or the Chatham House Rules? A. There is only one Rule. Q. What are the benefits of using the Rule? […]
다음은 독도다우리가 슬픔에 잠겨 있는 사이 일본이 치밀하게, 치밀하게 자신들의 이익을 실현시키고 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4월 21일부터 23일까지 2박3일간 일본을 국빈 방문했습니다. 일본 방문 결과를 두고 일본 내에서는 PTT 협상 문제로 불만을 제기하고 있지만 실은 그렇지 않아 보입니다. 대내외적으로 얻은 것이 많았던 회담으로 보입니다. 일본은 자신들의 1차 목표인 중일 분쟁 지역인 `다오위다오(센카쿠 열도)’ 지지를 이끌어낸데 이어 집단 자위권에 대해서도 사실상 승인을 얻어냈습니다. 이 것을 정상회담에서가 아닌 요미우리신문과의 단독 서면인터뷰에서 이런 민감한 발언을 이끌어 냈습니다. 양국간 정상회담에서 말하면 더 큰 파장이 있으니 이를 요미우리신문에 서면으로 하는 방식으로 타협한 것으로 보입니다. 요미우리신문 사이트에는 전문이 실려 있습니다. 이 서면 인터뷰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국제 안보에 대한보다 큰 역할을하려는 일본의 의지를 우리는 열렬히 환영하고있다. 아베 총리를 칭찬한다. 유엔 평화 유지 활동 (PKO)도 일본의 참가 확대로 혜택을 볼 것이다. 미국은 (아시아 태평양) 일본 같은 동맹국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다시 주도적 인 역할을하고있다”고 화끈하게 일본 지지했습니다. 1. 오바마의 요미우리 단독 인터뷰 이 인터뷰(http://www.yomiuri.co.jp/politics/20140422-OYT1T50185.html)는 다시 볼만한데 왜냐면 수많은 수사로 포장 돼 있지만 미국 오바마 정부의 `피봇 투 아시아(pivot to Asia)’와 `재조정(Revalencing)’ 정책에 대한 몇가지 중요한 입장이 들어가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을 포함한 우리의 동맹은 어느 때보다 강력하며 우리는 전 지역에 방어 태세를 현대화하고있다 ->미국은 2020년가지 국방비의 60% 정도를 아태 지역에 배분할 예정. 이 계획으로 의회와 싸우고 있는 상황임. 이를 오바마는 지역 방어태세 현대화로 표현했음. 우리는 동남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