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포드 경영대학원 사진 가운데 둥그렇게 있는 건물이 식당이다 (사진 @GSB) 어제 Jungwook Lim 선배와 다음 (Daum Communications) 제주 본사 관계자분들이 학교에 오셔서 Stanford University ‘공간’ 투어를 했다. 건물이나 건축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어떤 건축가가 어떤 건물을 지었느냐보다 ‘공간’을 어떻게 만들었는가를 중심으로 투어였다. Stan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에서 만나서 Meyer Library, Stanford University와 Design Thinking at d.school | Institute of Design at Stanford를 둘러봤다. 임 선배와 다음 분들에게 마지막으로 Stanford School of Engineering까지 둘러보려 했는데 시간이 없어서 엔지니어링 스쿨은 가지 못했다. 나는 오랫동안 ‘공간’에 관심을 기울이고 주목을 했었는데 왜냐면 공간은 의식을 지배하고 생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학교는 공부하는 공간이며 직장에서는 일하는 공간, 집에서는 사는 공간이 될 것이다. 사는 ‘곳’이 중요하고 일하는 ‘곳’이 중요하다. 그 ‘곳’이 어떻게 구성 돼 있는가에 따라 더/덜 행복해질 수 있고 생산성이 크게 높아질 수도 있으며 창조적 사고가 끊임없이 나올 수도 있다. ‘공간’의 선택은 물론, 건물 구조, 가구 배치까지 기업(학교, 재단 등)의 철학에 맞게 설계해야 한다. 공간에 대한 철학이 없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이게 더 좋지 않을까?”란 즉자적 아이디어론 부족하다. 물론 공간에 대한 철학까지 생각할 여유가 없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공간이 의식을 지배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아무렇게나 배치하거나 “그런건 전문가들에게 맡겨야지” 또는 “이쁘게 해주세요”라며 외주로 해결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가 주목한 스탠포드의 공간들은 모두 ‘협업(Collaboration)’와 ‘협습(Co-learning)’을 강조한 곳이다. 협업과 협습 모두 동료들간, […]